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8월 공모주 청약일정(크래프톤 외)

by DoDream2030 2021. 7. 27.
반응형

오늘은 21년 8월 주요 기업의 공모주 일정을 포스팅 해볼께요. 지난 달과 비교하면 이번달은 공모주 청약 종목들이 많은 것 같네요.

 

내가 적은 종목 이외에도 디앤디플랫폼리츠, 
롯데렌탈, 브레인즈컴퍼니, 아주스틸, 에스앤디, 
에이비온, 일진하이솔루스, 바이젠셀 등의 종목이 있다. 

*워낙 8월 공모주 일정이 빡빡해서 여러건에 
청약하는 경우 환불일도 잘 살펴봐야할것 같다. 

 

카카오 뱅크​


카카오뱅크 청약일 첫날 오후 3시 기준 경쟁률이 
35 : 1수준이라던데;; 오늘은 어디까지 올라가려나?

나도 카카오뱅크 청약을 신청하긴 했으나 워낙 배정
물량이 적은 곳에 신청했기 때문에 한주도 배정받지 
못할 가능성도 큰 것 같다. 

 

주변을 보면 카카오뱅크 청약을 너도나도 하긴 했는데 
생각보다 악재가 많은 것 같더라. 그나마 장외 주가 보다
카카오뱅크 공모가가 절반 이하로 낮은 편이라서 
다행인가 싶기도 하지만 여전히 고평가 논란은 크다. 

 

한화플러스제2호스팩


스팩주 열풍이 두드러지는 요즘. 한화플러스제2호스팩
경쟁률은 카뱅 못지않은 수준이다. 카카오뱅크의 
높은 경쟁률과 고평가 논란 때문인지 스팩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26일 기준으로 경쟁률은 
50:1을 훌쩍 넘겼다고 한다. 

 

에이치케이이노엔

에이치케이이노엔 종목은 코로나19 백신 임상
시험 1상 승인을 받은 바 있다. 18년 한국콜마그룹에 
인수되었으며 지난해 사명을 변경하였다. 

주력 사업으로는 전문의약품과 헬스뷰티&비버리지이며
수액 및 백신 등 국가 필수의약품을 포함해 순환, 소화 
둥 7개 넘는 치료 영역 ETC 가 매출의 약 86%를 
차지하고 있는 곳이다. 

 

 

작년 실적은 매출액 5984억 원, 영업이익 870
억 원으로 회사 설립 후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하였다. 

 


원티드랩

원티드랩은 15년에 출범되어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채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채용 플랫폼이다. 

현재 220만 개 이상의 실시간 매칭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아시아 5개국에서 채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채용이 늘면서 원티드랩의 
매출 또한 147억 원으로 첫 매출 100억 돌파했다. 

 

올해 1분기 경우 매출 57억 원으로 동기 대비 90% 이상
증가하였으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8월 11일쯤 
상장하지 않을까 예상되고 있다.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고평가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특정
게임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것인데 1분기 
매출 중 96% 이상이 배틀그라운드에서 발생했다. 

만약 배틀그라운드의 영업이익이 감소할 경우 
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입장이다. ​

 

크래프톤의 공모가 상단 기준으로 시가 총액은 
24조 원이 되는데 상장으로 마련한 자금의 70%를
글로벌 인수합병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평가 논란은 있지만 경쟁률은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

 

 

엠로

엠로는 2000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SCM 솔루션
전문 업체이다. 현재 삼성, 현대자동차, LG, 포스코 등의 
대기업과 공기업들이 엠로의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 

 

엠로는 설립 후 20년간 연평균 28%의 매출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해 매출은 전년대비 35%
상승, 순이익과 영업이익은 493% 600% 증가했다. 

 

 

딥노이드

딥노이드는 의료인의 의료 진단 및 판독을 돕는 
인공지능 솔루션 등을 개발 및 제공하고 있다. ​

 

지난해 매출 기준은 10억 원 수준이지만 자체 
개발한 AI 설루션을 병원 및 제약사와 연계하는 
방식으로 상용화를 추진 중이라 실적 개선을 빠를 
전망이다. 

 

한컴라이프케어

한컴라이프케어 같은 경우 ICT기술을 접목한 
소방 및 산업 안전플랫폼 사업으로 주목받은 바 있다. 

 

한컴라이프케어는 소방 및 방위산업, 유관 공공기관 
등에 납품하는 안전 장비 업체로 2017년 한글과 
컴퓨터 자회사로 편입된 바 있다. 국내 최초로 공기
호흡기를 독자 개발하며 점유율 96%를 차지하고 있다. 
​​

반응형

댓글